강희선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706호
E-mail goodcare@cau.ac.kr
TEL 02-820-5699
곽연희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kwak0613@cau.ac.kr
TEL 02-820-5900
김기숙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kiskim@cau.ac.kr
TEL 02-820-5723
김상숙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kss0530@cau.ac.kr
TEL 02-820-5987
김성희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sung1024@cau.ac.kr
TEL 02-820-5985
김영미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ykim@cau.ac.kr
TEL 02-820-5984
김윤정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yoonjung@cau.ac.kr
TEL 02-820-6855
김지수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jisu80@cau.ac.kr
TEL 02-820-5991
김지은부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jieunkim@cau.ac.kr
TEL 02-820-5689
김혜진조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khj1203@cau.ac.kr
TEL 02-820-6686
김혜진부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hkim2019@cau.ac.kr
TEL 02-820-5659
노영숙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aqua@cau.ac.kr
TEL 02-820-5978
류은정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go2ryu@cau.ac.kr
TEL 02-820-5681
민아리부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amin@cau.ac.kr
TEL 02-820-5642
박소현부교수
연구실 위치
E-mail spark5@cau.ac.kr
TEL 02-820-5667
박시현부교수
연구실 위치 103관 309-1호
E-mail sh8379@cau.ac.kr
TEL 02-820-5737
백희정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521호
E-mail hcbaek@cau.ac.kr
TEL 02-820-5976
손연정교수
연구실 위치 103관 309-4호
E-mail yjson@cau.ac.kr
TEL 02-820-5198
손희숙교수
연구실 위치 102동 709호
E-mail son@cau.ac.kr
TEL 02-820-5998
신기수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527호
E-mail gisoo@cau.ac.kr
TEL 02-820-5975
유해영부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524호
E-mail hyoo@cau.ac.kr
TEL 02-820-5989
이규영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705호
E-mail queyoung@cau.ac.kr
TEL 02-820-5982
이숙정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702호
E-mail lsj1109@cau.ac.kr
TEL 02-820-5983
이원부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529-2호
E-mail oness38@cau.ac.kr
TEL 02-820-5742
이해영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529-5호
E-mail im0202@cau.ac.kr
TEL 02-820-5472
임은주부교수
연구실 위치 103관 309-2호
E-mail dew7593@cau.ac.kr
TEL 02-820-5996
장숙랑학장, 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717호
E-mail sjang@cau.ac.kr
TEL 02-820-5806
장인실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701호
E-mail shili79@cau.ac.kr
TEL 02-820-5744
전지혜조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715호
E-mail jjun27@cau.ac.kr
TEL 02-820-5291
정지혜부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704호
E-mail sjchung@cau.ac.kr
TEL 02-820-5932
최귀순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707호
E-mail kwisoonchoe@cau.ac.kr
TEL 02-820-5997
최성경부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714호
E-mail schoi0801@cau.ac.kr
TEL 02-820-5650
최숙자부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529-1호
E-mail sjchoi2u@cau.ac.kr
TEL 02-820-6862
최윤정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718호
E-mail yunjungchoi@cau.ac.kr
TEL 02-820-5986
최은영조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529-3호
E-mail eychoi@cau.ac.kr
TEL 02-820-6800
한기혜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526호
E-mail hankihye@cau.ac.kr
TEL 02-820-5995
한지희조교수
연구실 위치 303관 407-2호
E-mail jeeheehan@cau.ac.kr
TEL 02-820-5724
홍수민조교수
연구실 위치 102관 712호
E-mail smhong@cau.ac.kr
TEL 02-820-5645
홍혜정부교수
연구실 위치 106관 401-3호
E-mail julieh@cau.ac.kr
TEL 02-820-5876
강희선
교수02-820-5699
goodcare@cau.ac.kr
102관 706호
곽연희
교수02-820-5900
kwak0613@cau.ac.kr
곽연희는 중앙대학교 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을 14년동안 임상간호사로서 근무하였고, 시간강사로 강의를 시작하여 현재 중앙대학교 교원으로 간호학과에서 학부, 대학원 학생을 대상으로 기본간호학, 건강사정, 관련 실습지도, 간호연구 등을 강의 등 다양한 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임상경력은 중앙대학교 병원과 삼성서울병원에서 근무하는 동안 다양한 분야의 경험을 통해 전문직 간호사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 병원 내 라마즈 분만교실의 강사로 활동하였고, 2000년에는 석사 학위논문과 연계하여 모자동실과 모유수유에 대한 성공률 조사는 연구를 실시하였습니다, 중환자실에 근무할 당시인 2008년에는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실시하는 “중환자간호과정”을 수료함으로써 중환자간호사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익혔습니다.
교육자와 연구자로서 관동대학교(현 가톨릭관동대학교), 한중대학교 등에서 여성건강간호학, 기본간호학, 건강사정, 성인간호학, 아동간호학 등 다양한 간호학 분야를 강의하였습니다.
본인의 관심 연구분야인 정신건강, 간호실무과 건강증진 등입니다. 그동안 다양한 주제와 관련된 연구들을 수행해 왔으며, 앞으로 계속적으로 지속하고자 합니다. 특히 현재는 연구를 위해 다양한 공개된 데이터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공개된 데이터는 공중보건, 의학, 과학 및 간호 분야에서 무한한 활용이 가능한 정보의 귀중한 원천이 되기 때문에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김기숙
교수02-820-5723
kiskim@cau.ac.kr
김기숙 교수는 중앙대학교 간호대학 성인간호학 전공 교수로 근무하고 있음.
임상경력으로는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병동 간호사, 아시아나 항공 의료팀 선임간호사로 근무하였음.
연구 및 교육경력으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립창원대학교 등의 경력과 2016년, 미국 UNC at Chapel Hill 간호대학의 International Visiting Scholar 연구교수 파견 경력이 있음.
관심분야는 근거기반 간호이론 및 실무, 암생존자, 노인간호 및 만성질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로 이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김상숙
교수02-820-5987
kss0530@cau.ac.kr
성인간호, 노인간호, 수술간호, 건강사정, 근거기반간호를 담당하여 왔으며 간호교육방법으로서 Simulation-based learning, Team-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등 다양한 학습방법을 간호교육에서 활용하고 있다.
관심연구분야로는 시뮬레이션 및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간호교육, Cybercivility, 수술실 안전간호, 근거기반간호교육, 간호교육방법 (TBL, PBL, Simulation, Debriefing), 성인간호, 노인간호(advanced care plan, Dementia, elderly care) 등이다. 연구성과들은 국내외 우수한 저널을 통해 발표되고 있다,
김성희
교수02-820-5985
sung1024@cau.ac.kr
김성희 교수는 아동간호학을 교육하고 있으며 연구 관심분야는 양육, 애착, 건강증진, 간호교육, 시뮬레이션 교육이다.
김영미
교수02-820-5984
ykim@cau.ac.kr
김영미 교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성인간호학 이론과 실습을 강의하며,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건강사정, 간호중재론, 노인간호학 등을 강의한다.
김영미 교수는 또한 여러 주제의 연구도 활발히 하고 있는데 주 연구 목표는 만성질환자와 노인들의 비건강행위를 심도있게 이해하고, 그들의 비건강행위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들의 건강을 증진 하는 것이다. 현재 빅데이터 분석 및 체계적문헌고찰과 메타분석 등을 통해 이 연구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김윤정
교수02-820-6855
yoonjung@cau.ac.kr
한국 간호사 및 보건교사 2급 자격증
미국 뉴욕주 간호사 면허증
미국 소아종양전문간호사 자격증
한국 종양전문간호사 자격증
김지수
교수02-820-5991
jisu80@cau.ac.kr
김지은
부교수02-820-5689
jieunkim@cau.ac.kr
저는 본 대학의 인문사회간호학교실 조교수로 지역사회 아동비만에 대해 연구 중입니다.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국가 건강 코호트를 활용한 빅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시 통합건강증진지원단 운영의 세부책임연구자(2020-21)로 있으며, 보건복지부 등 다양한 정책연구 등에 참여하면서 방문간호와 일차의료, 지역사회 건강증진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김혜진
조교수02-820-6686
khj1203@cau.ac.kr
김혜진 교수는 다양한 임상경험을 통해 정신건강증진, 근거중심 간호실무와 간호실습교육의 효율화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간호과학자이자 연구교육자입니다.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중환자실을 거쳐 의료소송 법무법인, 간호협회, 건강검진 전문병원과 정신보건간호사회 간사업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경험을 두루 갖춘 이력의 소유자입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없애고 정신건강증진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며, 이후에도 중앙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병동, VIP 병동, 소화기내과 병동의 다양한 부서에서 십수 년 근무하며 임상현장에서의 노하우를 갖춘 준비된 교육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임상현장에서도 관심 주제와 관련된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며 간호교육과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최근에는 학생들의 역량강화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중입니다. 또한, 정신건강 전문간호사 자격을 바탕으로 간호실습에 대한 학생들의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인드 컨트롤 방법, 자기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주는 방법 등을 연구하며, CAU2030의 지향점 아래 세계적 간호에 기여할 수 있는 훌륭한 글로벌 인재양성에 혼신의 힘을 다하고자 노력하는 간호교육자 중 한 사람입니다.
김혜진
부교수02-820-5659
hkim2019@cau.ac.kr
김혜진 교수는 2019년 3월부터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에서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2017년 5월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간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 에모리 대학교 간호대학 Center for Nursing Excellence in Palliative Care의 박사후 연구원으로서 완화의료(palliative care)에 대한 연구를 해왔습니다. 현재, 장기요양시설과 요양병원에서 생애말기를 보내는 치매노인들이 보다 적절한 간호를 받을 수 있도록, 생애말기치료 관련 의사결정과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김혜진 교수는 한국과 미국의 중환자 간호부터 장기요양시설 간호, 완화케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펜실베니아주 전문간호사(adult & gerontology nurse practitioner)로서 근무한 경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노인간호학, 성인간호학, 완화의료 관련 과목들을 담당하여 교육하고 있습니다.
노영숙
교수02-820-5978
aqua@cau.ac.kr
학부교육과정에서 응급간호실습과 신경계 간호를 교육하고 있다. 대학원 교육과정에서 통증이론 및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설계, 시뮬레이션 교육사정 등을 교육하고 있다. 미국심폐소생협회 기본소생술 강사로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관심 연구 분야는 심폐소생술, 도구개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신경계 간호이다. 관심 분야에 대한 연구를 SSCI 저널에 다수 발표하였다. 미국 Gordon Center for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iami Miller School of Medicine, 에서 research fellow를 수료하였다. 한국연구재단에서 연구비를 수주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다수의 국내외 저널(성인간호학회지,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BMC Medical Education, BMJ Open, BMJ Simulation & Technology Enhanced Leaning, 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Nursing and Health Sciences, Nurse Education in Practice)의 심사위원을 맡았다.
주임교수와 통합간호실습센터장을 역임하였다. 팀기반 교육과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 관해 각각 병원간호사회와 서울특별시 간호사외의 보수교육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와 한국의료시뮬레이션 학회에서 다수의 학술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류은정
교수02-820-5681
go2ryu@cau.ac.kr
저는 학부에서 건강사정, 성인간호학, 암생존자통합관리 등의 이론과 실습을 강의하고 있으며, 대학원에서 측정 및 도구개발과 상급간호통계학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이전 경력으로 미국 콜롬비아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뉴욕대학교 방문교수 등이 있습니다. 그동안 수행한 연구과제는 탄광진폐증 환자의 호흡재활프로그램 개발, 유방암 관련 림프부종 위험행동감소 중재프로그램 개발, 유방암생존자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교육센터모형 개발, 인공방광을 지닌 비근침윤성 방광암 생존자의 생활네비게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대장암환자에서 생존자로의 삶의 궤적 개선을 위한 삶의 전환모델 개발 등입니다.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겠다는 각오로 암환자 대상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는 장루를 가진 대장암환자의 화장실 이용 개선, 인공방광을 지닌 방광암환자의 배뇨 개선 및 소아암 장기 생존자의 건강과 학습역량 개선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9~2021년에 간호대학장을 역임하였으며, 2024년부터 제26대 한국성인간호학회 회장으로서 미래간호를 위한 새로운 50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민아리
부교수02-820-5642
amin@cau.ac.kr
Dr. Min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the Chung-Ang University, Department of Nursing. The long-term goals of her nursing research career are to improve nurse work environments and to provide better quality of care for patients. Dr. Min’s program of research is dedicated to examining the impact of nurse staffing on both nurse and patient outcomes. As part of her doctoral program in nursing, her research activities specifically focused on nurse staffing and nurse-sensitive patient outcomes. She conducted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critical care units in the U.S. and applied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hich is a novel approach in nursing science. The significance of her research has been recognized with a competitive funding from Midwest Nursing Research Society, 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Alpha Lambda Chapter), and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dividual Basic Science & Engineering Research Program). Currently, she is conducting studies to examine the impact of nurse fatigue and sleep deprivation on nurse and patient outcomes in hospital settings. The study findings will be a significant step toward achiev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urse fatigue and patient safety that she would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healthcare policy and improvement of nursing practice.
박소현
부교수02-820-5667
spark5@cau.ac.kr
박소현 교수는 2022년 9월부터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에서 부교수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일리노이 대학교 간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간호대학에서 부교수로 재직 하였습니다. 연구 관심분야는 아동비만의 예방 및 관리입니다. 지역사회와 아동 및 가족이 협력하여 아동의 건강생활습관을 형성하고 비만을 예방/관리하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박시현
부교수02-820-5737
sh8379@cau.ac.kr
103관 309-1호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박시현입니다. 저는 중앙대학교 간호학과를 졸업하였고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Nursing에서 간호학 PhD.를 받았습니다. 저의 주요 연구 분야는 젠더기반 건강형평성(Gender health Equity)으로써 사회 및 문화적 구조로 인한 여성 취약계층의 건강 및 안전 문제를 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는 대학시절 상도동에서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을 하면서 지역사회 내의 취약가정, 특히 가정 내 여성 및 아이들이 겪는 문제와 관심을 가져왔고, 그 때의 경험들을 현재의 연구분야로 발전시켰습니다. 저는 지역사회 스스로의 역량증진 통해 이러한 사회적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에 연구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사회의 성(젠더)폭력에 대한 인식개선, 신고의도 증진 및 도움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토콜과 교육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성(젠더)폭력 피해자발견 및 도움 역량증진의 결과를 여러 논문을 통해 발표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관련 연구를 통해 한국 문화 내 젠더의 개념과 젠더 간 폭력 현상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저는 또한 질적연구자로서 근거이론, 현상학, 민속지학 연구 등의 다양한 질적연구들을 수행합니다. 앞으로도 지역사회의 여성 취약계층, 특히 폭력 피해 여성과 가족을 위해 다양한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등 수행해 나갈 계획입니다.
백희정
교수02-820-5976
hcbaek@cau.ac.kr
102관 521호
손연정
교수02-820-5198
yjson@cau.ac.kr
103관 309-4호
● 교육
[학부] 성인간호학 이론 및 실습
[대학원] 박사-간호이론개발, 성인간호학 세미나
● 자격 사항
간호사 면허 및 보건교사 2급 자격증
미국 뉴욕주 간호사 면허
중환자 전문간호사 자격증
ELNEC Critical Palliative Care Trainer
손희숙
교수02-820-5998
son@cau.ac.kr
102동 709호
지역사회간호학 전공으로 연구 분야는 일인가구의 삶의 질 개선, 만성질환자 및 지역사회 거주 대상자를 위한 테크놀로지 적용입니다.
신기수
교수02-820-5975
gisoo@cau.ac.kr
102관 527호
After 9 years of experience as a nurse at maternity wards, professor Gisoo Shin earned her master's degree in nursing at Yonsei University with the thesis on the "Analysis of the delivery experiences perceived by pregnant women based on the presence of their families during the event". She later earned her PhD in bioscience at Korea University with the dissertation on the "Analysis of monocytic intracellular monokine levels in patients with cancer and bacterial infections". She also worked as a visiting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She currently teaches women's health nursing at Chung-Ang University. Her researches focus on nursing interventions using the developed web or mobile applications and immune responses. The studies were funded by numerous prominent institutions, including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유해영
부교수02-820-5989
hyoo@cau.ac.kr
102관 524호
Dr. Yoo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of Department of Nursing at the Chung-Ang University. Dr. Yoo received B.S and M.S degree in nursing from Yonsei University, and Ph.D. degree in physiology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fter getting phD, she worked as postdoctoral fellow in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and University of Chicago.
Dr. Yoo is responsible for leading the integration between nursing and physiological research.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cardiovascular pathophysiology and pathogenic mechanisms of chronic diseases, including diabetes, breast cancer, pulmonary hypertension and metabolic syndrome. In another line of research, Dr. Yoo focuses on identifying genetic variation and biomarker related to vascular endothelial dysfunction based on healthcare big data analysis. Her current source of research funding is from National Research Foundation(NRF).
이규영
교수02-820-5982
queyoung@cau.ac.kr
102관 705호
강의과목은 지역사회간호학이론 및 실습(학부), 건강증진(대학원)입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청소년 성과 건강, 학교보건 및 보건교육, 청소년 비만 및 우울, 자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리더십 등입니다. 지금 하고 있는 연구사업은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사업’의 지원을 받아 2014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초등학교와 중학교 라이프스킬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교사연수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라이프스킬 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실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한국라이프스킬교육센터”를 설립하여 청소년 건강 프로그램개발, 교사연수, 라이프스킬 강사 훈련 등을 하고 있습니다.
이숙정
교수02-820-5983
lsj1109@cau.ac.kr
102관 702호
강의는 학부과정에서 성인간호학, 종양간호학, 성인간호학 실습, 종합간호수기평가
일반 대학원 과정에서 만성건강문제와 간호, 재활간호학 세미나. 성인간호학 세미나
건강간호대학원에서 글로벌간호 전공세미나를 담당하고 있음.
연구는 만성 질환자(신장질환자, 당뇨병환자, 암환자, 심뇌혈관 질환자)의 건강관리와 예방,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국제보건사업의 Monitoring 과 Evaluation 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음.
이원
부교수02-820-5742
oness38@cau.ac.kr
102관 529-2호
삼성서울병원 (2009-2010)
중앙대병원 (2014-2015)
이해영
교수02-820-5472
im0202@cau.ac.kr
102관 529-5호
이해영 교수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에서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마치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13년 3개월 동안 근무하면서 다양한 임상 경력을 쌓았다. 2013년 3월 호서대학교에서 교직생활을 시작하였으며, 2018년 9월에 중앙대학교로 옮겨와 현재 재직중이다. 간호대학생이 행복하게 자신의 미래를 준비하고 현장의 간호사들이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가는데 관심이 있으며, 이를 위해 관련 연구를 열심히 수행하고 학문 분야에 기여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임은주
부교수02-820-5996
dew7593@cau.ac.kr
103관 309-2호
[간략] Marquis Who's Who (2016~현재)에 등재된 교육자 및 연구자로서 각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이룬 인물에게 수여하는 ‘Albert Ne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를 수여한 바 있다.
장숙랑
학장, 교수02-820-5806
sjang@cau.ac.kr
102관 717호
노인인구 증가와 이에 따른 의료 및 장기요양 수요 증가는 현 보건의료자원의 절대부족을 야기합니다. 한국 사회에 맞는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체계 뿐만 아니라 돌봄의 미충족과 불평등 문제를 해결을 위한 통합적 접근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간병부담, 의료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과 공공성 강화를 강조하며, 다학제 접근을 바탕으로 지역사회간호의 이론과 실천 연구, 건강형평성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보건활동 및 국제비교 연구도 함께 수행하고 있습니다.
장인실
교수02-820-5744
shili79@cau.ac.kr
102관 701호
[경력]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중환자실 간호사(2003-2008)
서울아산병원 성인심혈관외과 CNS(2008-2015)
Cleveland Clinic & Mayo Clinic 연수(2010)
서울대학교 겸임조교수(2011)
대한간호협회 심혈관질환 환자간호 보수교육 강사(2013~2015)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중환자 전문간호사 과정 강사(2011~2015)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조교수(2015~2020)
[자격]
임상전문간호사 (Advanced Practice Nurse)
전지혜
조교수02-820-5291
jjun27@cau.ac.kr
102관 715호
Dr. Jun’s research has focused on biobehavioral interventions for symptom management to promote daily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In particular, based on her clinical experience in an intensive care unit for eight years, she has helped to improve sleep quality among critically ill patients. During her postdoctoral research, she contributed to biological nursing science in testing the use of biomarkers to measure stress in people living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y caregivers. Her long-term research goal is to develop interventions for reducing symptom burden in patient-caregiver dyads and to test the interventions’ effects using biomarker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Dr. Jun is a member of a multidisciplinary, multisite research team with members in Sweden and the United States.
정지혜
부교수02-820-5932
sjchung@cau.ac.kr
102관 704호
정지혜 교수는 아동간호학 담당 교수로, 특히 청소년의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아동의 사회 관계망 속에서 그들의 식습관, 운동습관, 흡연 및 음주 등 건강과 관련된 행동이 어떤 영향을 주고 받는지에 대해 연구를 진행 중이다. 가족이나 또래 집단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냄으로써, 건강 관련 행동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확인하고 나아가 보다 적절한 중재법을 고안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귀순
교수02-820-5997
kwisoonchoe@cau.ac.kr
102관 707호
최귀순 교수는 정신건강간호학, 생명윤리와 간호윤리, 헬스커뮤케이션, 질적 연구방법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지역사회기반의 정신건강증진, 정신질환을 가진 대상자의 삶의 치유를 위한 돌봄, 간호사의 윤리적 어려움과 대처 등이다. 또한 국내외 간호 관련 저널의 논문심사위원으로 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한 연구논문을 심사하고 있다.
최성경
부교수02-820-5650
schoi0801@cau.ac.kr
102관 714호
2008-2013 삼성서울병원 소아중환자실
2013-2017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
2017-2019 대한간호협회 정책국
2019-202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법윤리학과
최숙자
부교수02-820-6862
sjchoi2u@cau.ac.kr
102관 529-1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보건정책 중 보장성 및 지불제도 관련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보건의료체계, 보장성, 의료이용(미충족 의료), 노동자의 건강, 노동조건 및 작업환경 등이 주요 연구분야이며,
<지역사회간호학>, <간호통계학>, <보건의료정책> 등을 가르친다.
최윤정
교수02-820-5986
yunjungchoi@cau.ac.kr
102관 718호
정신간호는 간호의 본질인 돌봄(Caring)의 속성을 온전히 실천하는 과정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트라우마 스트레스, 지역사회 정신건강, 시뮬레이션 교육 관련 실무, 교육, 연구, 정책에 대한 간호전문성 향상과 간호지식체 확장에 기여하고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은영
조교수02-820-6800
eychoi@cau.ac.kr
102관 529-3호
- 서울아산병원 응급실(2008-2011)
- 서울아산병원 PI실(2011-2014)
-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2015-2018)
- 울산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2021)
한기혜
교수02-820-5995
hankihye@cau.ac.kr
102관 526호
Dr. Han is an enthusiastic nurse scientist and outstanding researcher. She is an Associate Professor of Nursing at the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Dr. Han’s research interests include nursing workforce issues in relation to nurse and patient outcomes in various settings. Her research incorporates quantitative methods with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e.g.,. longitudinal analysis and latent class modeling. The significance of her research has been recognized with highly competitive funding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and Bumsuk Academic Research Institute. She has over 40 high quality publications in peer-reviewed journals and professional publications. Dr Han is now collaborating with the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Nursing research team for expanding the US nursing phenomena to Korean for cross-cultural comparison and policy recommendation. Dr Han has been working with the team since 2008, first as a graduate RA in the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Nursing PhD program, then as a post-doctoral fellow, and currently as Associate Professor at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in Seoul, Korea. She has developed expertise in analysis of large national databases, contribute her expertise to organizing the study datasets, and consult on the design and execution of the data analysis.
한지희
조교수02-820-5724
jeeheehan@cau.ac.kr
303관 407-2호
한지희 교수는 2021년 9월부터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의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 부인과 병동 근무를 시작으로 여성건강간호 전반에 걸쳐 다양한 임상, 교육, 연구 경험을 쌓아왔으며, 현재 여성암 환자의 돌봄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학생들이 참 간호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돕고자 합니다.
홍수민
조교수02-820-5645
smhong@cau.ac.kr
102관 712호
Dr. Soomin Hong i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Chung-Ang University. Her research is dedicated to advancing nursing science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through innovative and integrative approaches to symptom management and supportive care. With a particular focus on older adults with advanced cancer, Dr. Hong explores frailty, symptom burden, and rehabilitation strategies that enhance patients' functional recovery and overall well-being. Recognizing the critical role of caregivers in optimizing patient care, she also investigates supportive interventions that address their needs. In addition to patient and caregiver research, her work extends to nursing education, where she focuses on clinical reasoning training and competency develop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oncology nursing practice. Through evidence-based research a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she strives to develop targeted interventions that improve patient outcomes and contribute to the evolving field of oncology nursing.
Professional Experience
Assistant Professor,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Chung-Ang University (2025 ? current)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onyang University (2023 ? 2025)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2022 ? 2023)
Teaching and Research Assistan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2017 ? 2022)
Staff Nurse (RN, OCN), Asan Medical Center (2011 ? 2017)
홍혜정
부교수02-820-5876
julieh@cau.ac.kr
106관 401-3호
홍혜정 교수는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시카고) 간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년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였습니다. 또한, 약 13년간 시카고 Illinois Masonic Medical Center, telemetry 병동에서 근무하여 다양한 만성질환 환자와 보호자에 대한 임상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소아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증상관리와 삶의 질에 대한 연구,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수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성인간호학, 만성질환관리 관련 과목을 담당하여 교육하고 있습니다. 현재(2021-2023)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부교수와 간호과학연구소장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