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교육과정

  • 석사과정
  • 박사과정
  • 석·박사학위통합과정
  • 1. 졸업에 필요한 학점 : 간호학전공 30학점, 전공연구 2학점 (총 32학점)
  • 2. 교과목 체계도 간호학전공 - 공통필수과목 2과목, 세부전공별 필수과목 2과목 이상 이수
  • 3. 재학 중 동일 교·강사가 담당하는 교과목은 3과목을 초과하여 수강할 수 없음
석사과정 교과과정표
구분 간호학
선수과목
[5과목이수]
필수 : 성인간호학(1)
선택 : 간호관리학(1), 기본간호학(1), 모성간호학(1), 보건교과교육론(1),
           아동간호학(1), 정신건강간호학(1), 지역사회간호학(1)
공통필수 과목
[2과목이수]
간호연구[3], 간호이론[3]
세부전공별
필수과목
[2과목 이상 이수]
  • 가족심리연구[3]
  • 간호관리연구[3]
  • 간호상담론[3]
  • 간호중재론[3]
  • 간호통계[3]
  • 간호학세미나[3]
  • 건강위기와 간호[3]
  • 건강증진론[3]
  • 문헌고찰방법론[3]
  • 보건기획 및 평가[3]
  • 보건의료질관리[3]
  • 보완대체간호[3]
  • 생애주기별 건강문제 및 간호[3]
  • 여성건강론[3]
  • 영적간호[3]
  • 질적연구방법론I[3]
  • 측정 및 도구개발[3]
  • 환자안전연구[3]
전공선택
과목
(전공별공통)
  • 간호관련 법적문제의 이해[3]
  • 간호정보학[3]
  • 근거기반간호와교육[3]
  • 노인완화의료세미나[3]
  • 다문화간호[3]
  • 법의간호학[3]
  • 보건복지정책론[3]
  • 병태생리학특론[3]
  • 스마트헬스케어세미나[3]
  • 스마트헬스케어중재론[3]
  • 시뮬레이션 교육방법론[3]
  • 임상간호생리학[3]
  • 연구설계 및 적용[3]
  • 유전과 간호세미나[3]
  • 증상관리이론과 적용[3]
  • 통증이론 및 간호[3]
  • 헬스커뮤니케이션[3]
  • 1. 졸업에 필요한 학점 : 간호학전공 30학점, 전공연구 4학점 (총 34학점)
  • 2. 교과목 체계도 : 공통필수과목 5과목, 세부전공별 필수과목 2과목 이상 이수
  • 3. 재학 중 동일 교·강사가 담당하는 교과목은 3과목을 초과하여 수강할 수 없음
박사과정 교과과정표
구분 간호학
선수과목
[3과목이수]
필수 : 간호연구
선택 : 간호상담론, 간호이론, 간호통계, 간호학세미나
공통필수 과목
[5과목이수]
간호이론개발[3], 간호철학세미나[3], 상급간호연구방법론[3],
상급간호통계[3], 질적연구방법론Ⅱ[3]
세부전공별
필수과목
[2과목 이상 이수]
  • 간호관리학세미나[3]
  • 간호리더십개발세미나[3]
  • 간호상담론[3]
  • 건강증진론[3]
  • 문헌고찰방법론[3]
  • 보건기획 및 평가[3]
  • 보건의료서비스연구[3]
  • 보건의료질관리[3]
  • 보건정책개발론[3]
  • 생애주기별 건강문제 및 간호[3]
  • 성인간호학세미나[3]
  • 아동간호학세미나[3]
  • 여성건강간호학세미나[3]
  • 여성건강론[3]
  • 영적간호[3]
  • 인간행동론[3]
  • 재활간호세미나[3]
  • 정신건강간호학세미나[3]
  • 지역사회간호학세미나[3]
  • 학위논문세미나[3]
  • 해석학적연구방법론[3]
전공선택
과목
(전공별공통)
  • 간호관련 법적문제의 이해[3]
  • 가족심리연구[3]
  • 간호정보학[3]
  • 간호정책개발론[3]
  • 건강형평성과 정책[3]
  • 근거기반간호와교육[3]
  • 글로벌헬스의 이슈와통합[3]
  • 노인완화의료세미나[3]
  • 다문화간호[3]
  • 법의간호학[3]
  • 보건경제[3]
  • 병태생리학특론[3]
  • 생윤리와간호[3]
  • 스마트헬스케어중재론[3]
  • 스마트헬스케어세미나[3]
  • 시뮬레이션 교육방법론[3]
  • 임상간호생리학[3]
  • 정신건강론[3]
  • 증상관리이론과 적용[3]
  • 통증이론 및 간호[3]
  • 헬스커뮤니케이션[3]
  • 1. 졸업에 필요한 학점 : 총 57학점, 전공연구 6학점(총 63학점)
  • 2. 교과목 체계도 : 공통필수과목 7과목, 세부전공별 필수과목 2과목 이상 이수
  • 3. 재학 중 동일 교·강사가 담당하는 교과목은 6과목을 초과하여 수강할 수 없음
석·박통합과정 교과과정표
구분 간호학
선수과목
[5과목이수]
필수 : 성인간호학(1)
선택 : 간호관리학(1), 기본간호학(1), 모성간호학(1), 보건교과교육론(1),
아동간호학(1), 정신건강간호학(1), 지역사회간호학(1)
공통필수 과목
[7과목이수]
간호연구[3], 간호이론[3] , 간호이론개발[3], 간호철학세미나[3],
상급간호연구방법론[3], 상급간호통계[3], 질적연구방법론Ⅱ[3]
세부전공별
필수과목
[2과목 이상 이수]
  • 가족심리연구[3]
  • 간호관리연구[3]
  • 간호관리학세미나[3]
  • 간호리더십개발세미나[3]
  • 간호상담론[3]
  • 간호중재론[3]
  • 간호통계[3]
  • 간호학세미나[3]
  • 건강위기와 간호[3]
  • 건강증진론[3]
  • 문헌고찰방법론[3]
  • 보건기획및평가[3]
  • 보건의료서비스연구[3]
  • 보건의료질관리[3]
  • 보건정책개발론[3]
  • 보완대체간호[3]
  • 생애주기별 건강문제 및 간호[3]
  • 성인간호학세미나[3]
  • 아동간호학세미나[3]
  • 여성건강간호학세미나[3]
  • 여성건강론[3]
  • 영적간호[3]
  • 인간행동론[3]
  • 재활간호세미나[3]
  • 정신건강간호학세미나[3]
  • 지역사회간호학세미나[3]
  • 질적연구방법론I[3]
  • 측정 및 도구개발[3]
  • 학위논문세미나[3]
  • 해석학적연구방법론[3]
  • 환자안전연구[3]
전공선택
과목
(전공별공통)
  • 간호관련 법적문제의 이해[3]
  • 간호정보학[3]
  • 간호정책개발론[3]
  • 건강형평성과 정책[3]
  • 근거기반간호와 교육[3]
  • 글로벌헬스의 이슈와 통합[3]
  • 노인완화의료세미나[3]
  • 다문화간호[3]
  • 법의간호학[3]
  • 보건경제[3]
  • 보건복지정책론[3]
  • 병태생리학특론[3]
  • 생윤리와 간호[3]
  • 스마트헬스케어세미나[3]
  • 스마트헬스케어중재론[3]
  • 시뮬레이션 교육방법론[3]
  • 연구설계 및 적용[3]
  • 유전과 간호세미나[3]
  • 임상간호생리학[3]
  • 정신건강론[3]
  • 증상관리이론과 적용[3]
  • 통증이론 및 간호[3]
  • 헬스커뮤니케이션[3]